원해연 오는 3월 입지 결정될 듯… 유치경쟁 재점화

산자부 공식석상서 3월 원전해체산업 종합육성전략 수립 언급

이상욱 기자 / 2019년 01월 17일
공유 / URL복사

산업통상자원부가 오는 3월 원전해체연구소(원해연) 입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경북도·경주시를 비롯해 울산, 부산 등 지자체간 유치경쟁이 다시 불붙고 있다. 먼저 3월 원해연 입지를 결정할 것이라는 전망과 관련해서는 산자부 관계자들의 공식석상 발언 등에서 속속 확인되고 있다.

지난달 27일 산자부가 주관한 제8회 원자력 안전 및 진흥의 날 기념식에서다. ‘에너지전환과 미래를 준비하는 원자력’을 주제로 한 행사는 정승일 산업부 차관, 문미옥 과기정통부 차관, 이명철 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 정재훈 한수원 사장 등 산·학·연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해 열렸다.

이 자리에서 정승일 산업부 차관은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앞으로 국내 해체시장과 산업이 본격 조성될 예정임에 따라 정부는 원전해체산업 종합육성전략 수립(3월),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 설립(2021년) 등 새로운 먹거리 마련을 위해 원전해체산업을 적극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서울서 열린 ‘제2차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에서는 3월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마련을 비롯해 한수원의 고리1호기 해체계획 등 보다 구체적인 내용도 나왔다.

정부,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되고, 한수원 사장이 협의회장인 민관협의회는 이날 회의에서 3월까지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마련을 위해 공동협력하기로 했다는 것.

특히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향후 국내외 원전해체 시장 본격 확대에 대비해 원전산업의 새로운 먹거리로서 원전해체분야의 선제적인 육성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를 위해 정부는 3월까지 원해연 설립방안을 포함한 원전해체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한수원의 고리1호기 해체계획도 나왔다.

회의 내용에 따르면 한수원은 오는 6월까지 초안 작성 후, 주민 의견수렴을 거쳐 원안위로 최종안을 2020년 6월까지 제출하고, 원안위 인허가 승인 이후 2022년 하반기부터 해체에 본격 착수할 전망이라고 밝히고 있다. 해체계획서에는 해체사업 관리계획, 방폐물 관리계획, 환경영향평가 결과 등의 내용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현재 원전해체기술 58개 중 45개를 확보했고, 2021년까지 원전해체 필수 상용화기술 국내자립을 추진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이처럼 산자부 주관행사와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 회의 내용 등을 종합하면 오는 3월 이내 원해연 입지가 결정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우선 정부와 한수원은 원해연 본격 가동 시점을 2022년 하반기로 계획하고 있고, 사전 연구 및 시험 등이 이뤄져야 하는 점을 감안하면 2022년 상반기까지는 원해연이 완공돼야 한다. 이에 따라 원해연 건립에 필요한 공기를 2년 내외로 보면 입지 결정은 늦어도 오는 3월 이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원해연 입지 최대 관심사로 부각
상황이 이러자 최대 관심사는 원해연 입지다. 지난 2014년부터 각각 최적지임을 강조하며 유치경쟁을 펼쳐온 경북도·경주시를 비롯해 울산시, 부산시의 원해연 유치전이 더욱 치열해 질 전망이다.

특히 경북도와 경주시는 중저준위방폐장과 월성원전, 한수원,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 원전 관련 기관이 한 곳에 있는 경주가 원전 설계-건설-운영-해체-처분으로 이어지는 원전산업 전주기 싸이클을 집적시킬 국내 최적지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 경북도내 국내 원전 24기 중 12기가 밀집된 데다 경주에는 국내 유일의 4개 중수로 원전과 2개 경수로 원전 등 다양한 유형의 원자로를 보유하고 있는 점 등도 원해연 입지 이유로 손꼽고 있다.
또한 원자력 해체관련 인력양성을 담당할 동국대와 원전현장인력양성원, 원자력관련 첨단기술을 개발 중인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가 있어 원전해체산업 유치에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는 점도 앞세우고 있다.

경주시 관계자는 “경주가 국내 유일하게 원전 전체 주기와 관련한 시설을 구축하고 있어 효율적인 원전 해체기반이 조성돼있다”면서 “객관적으로 평가해도 경주가 연구센터 입지의 최고 적지”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부산과 울산의 유치활동도 만만찮다. 신고리원전 3, 4호기가 들어선 곳이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는 울산시는 현대중공업을 비롯해 설비해체, 핵종분석 등 해체기술 실증화가 가능한 산업인프라를 강점으로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부산시는 국내 첫 해체 대상인 고리1호기가 소재한 곳으로 국내 최초 원자력산업단지 조성, 원자력부품·설비 인증센터 설립 등 입주조건에 있어 유리한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한편 정부가 원전 해체를 위해 지난 2014년 원해연 설립 부지를 공모방식으로 진행했었지만 2016년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낮은 경제성으로 백지화됐다. 이후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6월 19일 고리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서 동남권 원해연 설립 의지를 밝히면서 지자체간 유치경쟁이 재점화됐다.
X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