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슈즈 속에 숨은 아픔

경주신문 기자 / 2019년 11월 14일
공유 / URL복사

 이동우 예술상생 대표
앞서 언급했듯이 탈리오니의 까치발은 토슈즈 없이 발가락 끝에 체중을 싣는 힘든 동작이었다. 이후 발끝으로 서는 안무가 많이 개발되며, 토슈즈의 탄생을 촉진하게 된다. 언제부터 토슈즈가 쓰인지는 알 수 없지만 토슈즈가 발레 기술의 획기적 발전에 기여한 것만은 분명하다.

토슈즈를 잠깐 살펴보자. 토슈즈는 발가락을 덮는 부분이 딱딱하다. 여러 겹의 종이를 아교로 고정시켰기 때문이다. 발끝부분은 지름 3cm의 원형으로 평평하다. 평평하다고 해서 까치발이 쉬운 건 아니다. 이곳에 무용수의 체중이 온전히 실리기 때문이다. 중력의 압박으로 발톱이 빠지고 발가락이 뭉개지는 아픔이 따른다. 하지만 그 대가로 무용수들은 환상적인 하체 기술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

발레리나 강수진의 발가락 사진이 큰 화제가 된 적이 있다. 그녀의 아름다운 외모에 어울리지 않는, 지극히 못생긴 발가락은 충격이었다. 발끝으로 서고, 돌고, 뛰는 동작이 수십 년간 반복되면서 그녀의 발은 흉측한 몰골로 변해간 것이다. 이런 발가락도 토슈즈 안에만 있으면 사람들은 잘 모른다. 우아한 줄만 알았던 발레가 뼈가 으스러지는 고통을 수반하는 예술이란 사실을 대중들이 비로소 알게 된 것이다.

영화 블랙스완(Black Swan/2010)을 보면, 주인공인 나탈리 포트만이 토슈즈를 직접 손질하는 장면이 나온다. 무용수들은 토슈즈를 자신의 일부로 생각하기에 스타 무용수라도 토슈즈만은 직접 챙긴다고 한다. 포트만은 영화에서 발레를 제법 잘 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유는 두 가지다. 하나는 어릴 적에 발레를 한 경험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대역 덕분이다. 포트만이 춤을 추는 장면을 잘 보면, 상반신만 촬영했음을 알 수 있다. 하체 기술이 보이는 전신 촬영은 얼굴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대역을 쓴다. 이런 촬영 및 편집기술은 작품의 완성도를 높인다. 포트만은 너무나 완벽한 발레리나처럼 보인다.
X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