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경주대 정상화 길은 어디로?’

대학 살리기 위한 시민토론회 개최
정진후 총장 “지역 협력 시스템 중심 기지 대학 육성”

이필혁 기자 / 2020년 01월 16일
공유 / URL복사
↑↑ 지역 경제 버팀목 역할을 하는 대학 살리기 위해 많은 시민이 토론회에 참여했다.

경주대 정상화를 위한 토론회에 시민들의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경주대와 서라벌대 정상화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14일 화랑마을 기파랑관에서 ‘경주대학교를 시민의 품으로’라는 주제로 2020 경주시민대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는 경주대 정진후 총장이 향후 경주대가 나아가야할 방향과 비전을 시민과 공유하는 시간으로 마련됐다.

정진후 총장은 토론회에서 경주대를 지역 협력 시스템 중심의 기지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경주대를 지방자치단체와 경주대의 연구, 기술개발·교육·훈련, 지역 기업이 함께 협력하는 시스템 중심기지로 육성해 경주대를 경주형 지역 협력 중심 대학으로 육성한다는 것. 정 총장은 이를 위해 경주대를 역사문화관광과 현대기술 융합분야, 보건복지와 재난안전 융합분야, 사회혁신·그린에너지 미래기술 분야로 나줘 재편하는 세 가지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지역사회에 함께하는 프로젝트로 경주전통기술교육원을 건립해 전통과 기술의 융합, 경주형 보건복지 통합 서비스, 경북 향토음식을 관광지원화, 무형전통 복원(두산 손명주와 베틀가) 등을 진행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정 총장은 “경주대 정상화는 경주시민의 대학으로 재탄생하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개인의 소유가 아닌 공적 가치에 충실한 대학, 대학 운영에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대학, 경주의 과거·현재·미래를 연구하는 경주학 중심연구기관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정 총장은 이 같은 비전을 제시하며 경주대 구성원들의 노력과 함께 지역사회의 관심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민사회와 구성원들의 협의를 거쳐 경주대 비전 최종안을 마련해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10년사이 학교 경쟁력 ‘악화’
경주대가 지역사회와 함께 학교 비전을 공유하고 참여를 독려하는 것은 심각한 위기감 때문이다. 경주대는 지난 10년 사이 심각한 경영 위기에 처해 있다.

2009년 4311명이던 재학생 수가 지난해 1120명으로 감소했으며 입학생수도 2009년 1351명에서 2019년 238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이로인해 학생 충원율이 2009년 89.4%에서 2019년 20.5%로 줄었으며 등록금수입이 2009년 291억원에서 지난해 80억으로 감소한 상태다. 학생이 줄어들고 등록금수입이 감소하면서 전임교원수, 학부(과)수, 직원 수도 대폭 감소하며 심각한 경영 위기에 몰린 상황이다.


-임시이사 공석으로 결정권 없어

경주대는 임시이사 파견과 ‘경주대 정상화 시민연대’ 구성, 대학 구성원들의 자구 노력을 통해 학교 정상화를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현재는 의사결정권이 없어 하고 싶어도 할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학교법인 원석학원의 재적이사 8명 중 재직이사는 임시이사 3명과 개방이사 1명 총 4명으로 구성돼 의결정족수 5명에 미달한 상황이다. 이로인해 이사회 미개최는 물론 법인 및 산하기관 감사 선임, 2018학년도 결산보고서 미제출 및 2019년 추가경정 및 2020년 본예산 결정 등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경주대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한 학교 자산 매각 등도 제동이 걸렸다.

경주대에 따르면 구 재단 측의 괴롭힘으로 임시이사 4명이 사임해 정족수 미달로 이사회가 무력화됐다고 밝혔다. 또한 교육부가 임시이사 추가 파견 절차를 진행 중이었으나 구 재단 측은 공개되지 않은 임시이사에게 협박성 내용증명까지 보내는 등 정상적 학교 운영을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경주대 관계자는 “경주대 학생들이 연간 180억 가까운 경제 유발 효과를 내는 등 대학은 지역 경제 버팀목이다”면서 “약 3000억원에 달하는 학교 자산이 개인 사유화 되는 것을 막고, 공공 교육 자산으로 시민의 대학이 되는데 시민들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X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