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18개 읍면동 인구소멸지수 ‘고위험·위험’

산내면 등 7곳 위험지수 0.2 미만 ‘고위험’
황성동·용강동 2곳 보통 안정지역은 없어

이상욱 기자 / 2022년 01월 13일
공유 / URL복사

경주지역 23개 읍·면·동 가운데 7곳이 인구소멸 ‘고위험’ 단계, 11곳이 ‘위험’단계로 이미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 단계는 3곳이었다. 인구소멸위험지수가 보통인 지역은 2곳에 불과했고, 소멸위험이 낮은 지역은 단 한 곳도 없었다.

경주지역 전체 평균 인구소멸위험지수는 ‘0.379’로 위험 진입단계로 확인됐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인구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수 대비 65세 이상 고령인구수를 나타낸 것이다.

지수가 0.2 미만이면 고위험, 0.2~0.5 위험 진입, 0.5~1.0 주의, 1.0~1.5 보통, 1.5 이상이면 매우 낮음 또는 안정 단계로 분류된다.

이 지수가 낮으면 인구 유입 등 큰 변수가 작용하지 않을 경우 약 30년 뒤 해당 지역이 없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를 지닌다.

지역에서는 산내면(0.069), 서면(0.088), 내남면(0.093), 감포읍(0.123), 황남동(0.124), 건천읍(0.145), 강동면(0.146) 등 7개 읍면동 순으로, 고위험 단계 기준인 0.2 미만으로 분석됐다.

소멸위험진입 단계(0.2~0.5)에 들어간 지역은 보덕동(0.208), 양남면(0.210), 황오동(0.213), 양북면(0.233), 월성동(0.240), 안강읍(0.246), 중부동(0.252), 천북면(0.262), 성건동(0.332), 불국동(0.346) 등 11개 읍면동이었다.

동천동(0.562), 선도동(0.612), 현곡면(0.827) 등 3곳은 주의 단계(0.5~1.0)로 나타났다.
지수 1.0~1.5 사이인 보통 단계는 황성동(1.020), 용강동(1.133) 등 2곳에 불과했다.
지수가 1.5 이상인 안정 단계인 지역은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지표는 다수의 읍면과 원도심 지역의 젊은 연령대 인구가 직장과 주거환경 등을 이유로 빠져나가면서 나타난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용강동 등은 대규모 토지구획정리사업, 택지개발사업 등이 시행됨에 따라 인구이동이 편중되면서 상대적으로 인구소멸위험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신경주역세권과 황성동, 용강동 등지에서 진행되는 대규모 아파트 건립이 완료된 뒤 입주가 시작되면 이 같은 지역별 편차는 더욱 극명하게 갈릴 전망이다.

경주시 관계자는 “핵심생산인구 정착을 위한 일자리, 주거, 교육(보육)서비스 지원과 지역균형발전 등을 통해 인구소멸위험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며 “고령인구비율이 높아짐에 따른 노인복지 정책 강화 등 지역 맞춤형 계획도 함께 추진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지역소멸을 막기 위해 인구 증감률과 청년 순이동률, 주간 인구 규모, 고령화 비율 등을 감안해 89개 시·군·구를 인구감소지역으로 정하고, 올해 매년 1조원씩 10년간 투입하기로 했다. 경북에는 16개 시·군이 지정됐지만 경주시는 제외됐다.

정부는 청년 유출과 인구 고령화로 도시 기능이 쇠퇴하면서 소멸위기에 빠진 지역에 일자리 창출과 청년인구 유입, 생활인구 확대 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벌인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저출산 문제와 수도권 집중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의문이 든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X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