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의 현주소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어디까지 왔나?

이상욱 기자 / 2024년 09월 26일
공유 / URL복사
천년고도 경주는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이 진행 중이지만 문화유산의 특성상 추진 속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유산의 보존과 복원을 두고 시각차가 분명한 가운데 발굴과 연구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되면서 핵심유적의 복원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 같은 현실 속에서 경주의 문화유산에 대한 복원·정비 방향과 이를 활용한 관광정책 등을 모색해본다. /편집자주

↑↑ 월정교 야경.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은 경주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근간이 되는 사업으로 정의된다. 대한민국의 뿌리를 되살려 새로운 문화융성 시대를 열어가는 국가사업인 것이다. 하지만 천년을 뛰어넘은 신라문화를 부활하는 것으로, 발굴과 고증을 거쳐 복원까지 가는 과정은 만만찮다.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고증을 거쳐 복원해야 하는 문화유산의 특성상 오랜 시일이 걸리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의 역사

신라왕경 핵심유적의 정비가 거론되고 추진이 시작된 것은 197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 박정희 대통령이 1971년 경주를 국제적인 문화·관광도시로 조성하기 위한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하면서다. 
이 계획에 따라 연차적으로 경주지역 사적지 정비와 대규모 숙박단지, 보문관광단지 건립 등을 추진했다.

하지만 1979년 10월 박 전 대통령의 서거 후 대부분의 사업은 중단되고 만다. 다시 본격적으로 추진되기까지는 오랜 시일이 걸렸다.

2007년 경주역사문화도시 조성 기본계획과 2011년 경주고도보존계획 수립 등에 따라 신라왕경에 대한 발굴과 정비가 재시작된 것이다. 하지만 큰 진전을 이루진 못했다.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이 속도를 내기 시작한 것은 2014년부터다.

당시 2025년까지 9450억원을 투입해 경주 월성과 황룡사 등 8대 핵심유적에 대한 발굴과 정비·복원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 수립됐고, 곧바로 시행에 들어갔다. 또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추진단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또 다른 전기를 맞은 것은 2019년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에 관한 특별법(신라왕경법)’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이듬해 시행되면서다. 2020년 신라왕경법 시행령까지 제정되면서 사업비는 기존 9450억원에서 1조53억원으로 증가했다. 또 신라왕경 핵심유적의 범위도 기존 8곳에서 14곳으로 확대했다.

기존 사업 대상은 월성, 황룡사지, 동궁과 월지, 첨성대, 대릉원 일원, 동부사적지, 춘양교지와 월정교지 등 8개 유적이었다. 여기에 인왕동 사지, 천관사지, 낭산 일원, 사천왕사지, 분황사지, 미탄사지 삼층석탑 등 6곳이 추가되며, 총 14개 유적에 대한 발굴·정비·복원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복원 사업이 마무리된 금관총 내부 모습.


복원된 월정교·금관총, 관광명소로 자리매김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 중 가장 먼저 완료된 것은 월정교다. 지난 2008년 월정교 복원을 위한 첫 삽을 뜬 이후 10여년 만인 2018년 9월 완공됐다. 월정교는 신라왕궁인 월성과 남산을 잇는 대표적 다리로 신라왕경의 규모와 성격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고대 교량 건축기술의 백미로 교각 자체만으로도 시선을 압도한다. 야간경관조명은 주변과 어우러져 경주의 야간 명소로 떠오르며 경주 관광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 신라 금관이 출토된 ‘금관총’과 신라고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신라고분정보센터’도 완공돼 지난해 6월 30일 정식 개관했다.

두 곳 모두 2023년 5월까지 내부 정보화 구축사업을 거쳐 건축면적 1641.32㎡(금관총 617.32㎡, 고분정보센터 575.90㎡), 연면적 1555.9㎡(금관총 575.9㎡, 고분정보센터 980㎡) 규모로 조성됐다.

금관총과 신라고분정보센터는 신라고분의 우수성을 알리고, 핫플레이스인 황리단길과 도심을 잇는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 황룡사 ‘중문·남회랑’ 증강현실로 재현된 모습.


실물복원 보다 디지털 복원에 집중

복원 등의 사업이 완료된 월정교와 금관총·신라고분정보센터를 제외한 나머지 핵심유적들은 현재 발굴과 고증연구에 치중돼있다.

국가유산청이 지난 2021년 3월 내놓은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5개년(2021~2025) 종합계획에 따르면 핵심유적의 실물복원 보다는 디지털 복원계획안이 대거 포함됐다.

이 종합계획은 신라왕경특별법에 따라 국가유산청이 신라왕경 핵심유적의 복원·정비를 위해 5년마다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특별법 시행 후 처음으로 수립된 계획이다. 종합계획에는 신라왕궁과 황룡사구층목탑 등 대형 핵심유적의 실물복원 계획은 수립되지 않았다. 실물복원을 위한 고증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반면 디지털 재현사업과 XR(확장현실) 등 디지털 복원안이 대거 포함됐다. 첨단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일부 핵심유적을 재현하고, 복원 활용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복안이다.



핵심 중 핵심 ‘월성·황룡사’ 복원·정비 현황은?

신라왕궁(월성)의 경우 지난 2012년부터 중·장기 계획으로 월성복원 연구, 월성 경관 복원 연구, 성벽 축조공법 복원 연구 등을 중심으로 사업이 추진 중이다. 신라왕궁 실물복원은 이 같은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고, 원형 고증이 이뤄진 이후에나 진행할 방침이다.

대신 지난 2022년 3월 경주 월성해자 재현·정비사업이 완료됐다. 또 월성 발굴 과정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연구하는 시설인 신라월성연구센터 ‘숭문대(崇文臺)’가 지난 6월 13일 준공식을 가졌다. 숭문대는 지난해 연구동과 전시동 준공에 이어 고환경(古環境) 연구동과 관람객 주차장을 완공하면서 조성사업을 마무리했다.

숭문대는 월성에서 발굴된 유물의 ‘분석-보존처리-보관’에 이르는 과정이 한 공간에서 이뤄진다. 특히 지난해 완공된 전시동에는 ‘실감 월성해자’ 전시로 현재까지 3만여명의 관람객들이 다녀가면서 또 다른 명소로 자리매김 중이다.

신라의 궁궐이었던 월성을 소개하는 ‘신라왕궁영상관’도 새단장을 완료하고 지난 5월 1일 재개관했다.

또 다른 핵심사업으로 황룡사지 9층 목탑 실물복원 역시 2025년까지 진행되는 종합계획에는 들지 못했다. 대신 황룡사 중금당 디지털 콘텐츠 제작과 중문 및 남회랑 AR(증강현실) 서비스 등 디지털 복원안이 포함됐다.

지난 2021년 12월 황룡사 중문·남회랑 증강현실 콘텐츠를 완성해 체험이 가능하다. 또 황룡사 9층 목탑 증강현실 콘텐츠를 개발한 상황이다. 현재 실물 복원사업으로는 황룡사지 진입부 기단정비공사가 진행 중에 있다.


↑↑ 신라월성연구센터가 지난 6월 13일 준공식을 가졌다.


추가된 핵심유적은?

신라왕경특별법 시행령으로 추가된 7개 유적의 일부는 복원계획이 수립돼 추진 중이다. 먼저 분황사지는 모전석탑 구조안정과 원형연구를 시작으로 심화연구를 거쳐 중·장기 계획으로 석축배수로와 담장 복원, 창건금당지, 강당지, 동서회랑지, 문지 등을 순차적으로 복원한다는 계획이다. 인왕동사지는 석탑과 연지·우물을 2025년까지 복원하고, 장기적으로는 금당지, 강당지 등도 복원할 계획이다. 낭산일원은 먼저 황복사지 정비와 중기 계획으로 능지탑소조상 3D 복원, 능지탑 등을 복원할 계획이다. 또 사천왕사지는 서탑지 기단이 복원됐고, 2025년까지 금당지 기단 복원에 이어 중·장기 계획으로 귀부 주변과 강당지·회랑지를 복원키로 했다.



문화유산 연계한 관광정책 개발 ‘절실’

지난 2021년 수립한 종합계획에 따라 일부 핵심유적이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를 토대로 복원·정비되면서 더디지만 하나씩 가시화되고 있다. 하지만 발굴·복원 중이거나 복원을 완료한 문화유산을 연계한 관광프로그램이 부재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일례로 천마총, 쪽샘유적발굴관, 금관총과 고분정보센터는 신라시대 고분으로 각각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3개 고분을 연계하는 탐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월성과 숭문대, 도심과 경주읍성 등지의 문화유산을 연계해 관광 자원화할 수 있는 소재가 경주만큼 풍부한 곳도 없는데도 이를 연계한 관광프로그램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각각의 문화유산에 대한 홍보에만 치중되다 보니 경주를 찾은 관광객들이 신라 천년의 역사에 대한 이해도 얕을 수밖에 없다는 것.

이에 대해 경주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현재 경주를 찾는 관광객들이 주요 문화유산을 찾지만 고도 경주의 정체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가는 이들은 거의 없을 것”이라며 “기존 핵심 문화유산과 발굴 또는 복원된 문화유산을 연계한 관광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스토리텔링해야 국제적인 관광도시의 면모를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주시 관계자는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계획의 차질 없는 추진을 통해 핵심유적의 원형 복원과 관광자원을 확대하고,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신라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해나가겠다”며 “핵심유적 공간 내에서의 문화유산들을 가시화시키고 이를 연계한 관광정책들을 수립해 천년고도의 면모를 되살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X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