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이 그리워할 오늘
경주신문 기자 / 2024년 11월 14일
|
공유 / URL복사 |
↑↑ 이승미 경주 아줌마 |
녹음이 가득한 논밭에 바람이 불면 연둣빛 파도가 장관이었던 여름이 지나고, 노오란 황금빛 물결에 감탄을 지어내던 가을이 지나서, 싹둑 잘려 나간, 추수가 끝난 논밭은 쌀쌀한 겨울바람에 휑하다.
논밭에 부모님의 삶이 있구나, 인간의 삶이 있구나 싶다.
예전에 유행했던 것 중에, 하나가 기억이 난다.
“죽음 체험”
유서를 작성하기도 하고, 관속에 직접 들어 가보고, 자신의 장례식을 미리 경험해 보는 것. 삶이 지치거나 힘든 사람도, 인생을 한번 되돌아보고 싶은 이도, 부모와 자식이 함께 서로의 장례식을 옆에서 지켜보기도 하고…. 그래서 당시에 모든 방송사에서 내가 죽을 때 묘비명에 어떤 글귀가 쓰여 있으면 좋을까 하는 관련된 프로그램을 다루기도 했다.
아줌마도 당시에 내 묘비명에 쓰이면 좋을 말을 한참이나 고민했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그때 고민했던 그 문구처럼 살려고 지금까지 노력하며 살아왔고, 앞으로 그렇게 살아가려고 노력할 것이다.
건강 검진을 했다.
마흔이 되면 자주 아픈 곳이 한 군데 생기고, 쉰이 되면 자주 아픈 곳이 여러 군데 생긴다는데, 몸소 경험하고 있다. 100세 시대라고 하지만, 기계로 치면 50년을 썼는데 여기저기 탈이 안 나는 것이 오히려 신기한 일이려니, 자연스레 받아들이려 노력 중이다. 그래서 운동도 하고, 몸을 잘 관리하려 나름의 노력도 한다.
몸은 그렇지만 정신은 어떤가?
시간이 이만큼 흘렀으니 아줌마는 기성세대, 중장년층이다. 아직도 갓 고등학교를 졸업했던 때의 그 마음이 있는 것 같은데, 대학 새내기 시절의 풋풋함과 열정이 가슴 한구석에 여전히 남아있는데, ‘라떼는~’을 말하지 않지만 시간이 많이 흘렀음을 여기저기서 많이 느낀다. 이런 것도 자연스레 받아들이려 노력한다.
그런데 아무리 받아들이려고 해도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 있다.
나이를 먹어간다는 것도, 인생의 마지막 장을 준비해야 하는 것도 받아들인다. 내가 어찌 할 수 없는 것이기에. 그런데 내가 어찌할 수 없는 것이라는 것을 알지만, 여전히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이별이다.
부모님과의 이별이다.
올해 초 오랜 투병 생활 끝에 아버지를 보냈다. 게다가 양가 어머님이 모두 편찮으시다. 시간이 지나면 양가 부모님이 돌아가시리라는 것을 결혼 초부터 인지했고, 그래서 다른 건 몰라도 양가 부모님을 자주 찾아뵈려 노력했다. 결혼 15년이 지나서 아버지를 여의고 편찮으신 두 어머님을 뵈면서 아줌마는 여전히 어찌할 줄 모르겠다. 어머니 앞에서는 철없는 막내딸, 막내며느리로 지내다 오지만, 혼자 있는 시간이면 억장이 무너진다.
뇌출혈로 쓰러진 엄마가 인공호흡기에 의지한 채 아무런 신체 반응이 없을 때도 아줌마는 엄마가 살아계신 것만으로도 의지가 됐다. 다행히 많이 좋아지셨지만, 여전히 병원에 계시는 어머니. 존재 그 자체만으로도 아줌마에게는 큰 위안이 된다.
결혼하면서 나에게 생긴 또 한 분의 어머니도 편찮으시다. 그 몸에도 불구하고 자식들이 온다고 하면 엄마 손맛으로 담근 각종 반찬을 준비하신다. 집에 갈 때 가져가라고. 별 특이한 비법이 있는 것도 아닌데 맛이 좋은 것은, 어머님이 음식을 만드실 때 좋은 마음으로 노래를 부르며 만드셔서 그런 것 같다는 형님의 말이 기억난다.
두 분 다 녹록하지 않은 형편에 억척스럽게 살아오신 분들이다.
막내딸, 막내아들에게는 강한 어머니의 전형적인 모델이다. 그런데 이런저런 투병 생활로 살이 빠지시고 걷지 못하시고, 강한 약 때문에 고통스러워 우시고, 혼자 있는 순간에 ‘엄마’를 부르며 홀로 아파하시는 모습을 우연히 보았을 때 아줌마는 또 무너졌다. 아줌마는 또 어머니 앞에서는 아무렇지 않은 척, 괜찮은 척하겠지만, 여전히 어머님이 안타깝고, 두 어머님과의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을까, 두렵고 무섭다.
두렵고 무서운 나날이지만,
그런데도 하루하루가 소중하다.
그리고 감사하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