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시 “관음보살과 정병” 개최
관음보살과 정병의 새로운 해석
김경효 기자 / 2009년 10월 27일
|
공유 / URL복사 |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지난 27일부터 다음달 6일까지 '관음보살과 정병'전을 개최한다.
전시에서는 삼국시대 관음보살상에서 조선시대 수월관음도에 이르기까지 불상과 불화의 소재가 되었던 자비의 화신인 관음보살의 다양한 면모와 흐름을 살펴볼 수 있고 불교 의식구이자 일상 생활용품이던 '정병'을 깊이 있게 조명하고 있다.
국보 247호 공주 의당 출토 금동관음보살입상은 백제 불상으로 이번 전시를 위해 처음으로 옛 신라 땅에 나들이하며,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고려시대 정병인 국보 92호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 역시 경주지역에 처음 선보인다.
보물 1204호인 한국불교미술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수월관음도는 불화승으로 유명한 의겸(義謙) 화사가 그린 것으로 고려시대 수월관음도와는 또 다른 미감을 선사한다.
정병은 원래 인도에서 수행생활을 하는 승려가 마실 물을 담던 수행도구 가운데 하나였으나, 중국에 관음신앙과 함께 전파되면서 부처나 보살에게 바치는 맑은 물을 담는 불교의 의식구로 그 의미와 기능이 확장됐다.
이번 전시에서는 ‘정병, 관음보살의 상징’라는 소주제로 관음보살의 상징으로 굳어진 정병을 살펴보고, 금속기와 도자기로 만든 정병의 다양한 변주를 통해 우리 공예의 섬세함과 우수함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 특별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 미술관 테마전 “정병과 관음신앙”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관음보살의 특징, 그리고 관음보살의 상징인 정병을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전시품을 추가해 새롭게 구성한 전시이다.
▶국보와 보물의 차이
문화재보호법 제5조의 ‘보물 및 국보의 지정’에 따르면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을 보물’로, 그리고 ‘보물에 해당하는 문화재 중 인류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그 가치가 크고 유래가 드문 것을 국보’로 지정할 수 있다고만 돼 있다.
↑↑ 보물 1204호 수월 관음도 |
ⓒ 경주신문 |
전시에서는 삼국시대 관음보살상에서 조선시대 수월관음도에 이르기까지 불상과 불화의 소재가 되었던 자비의 화신인 관음보살의 다양한 면모와 흐름을 살펴볼 수 있고 불교 의식구이자 일상 생활용품이던 '정병'을 깊이 있게 조명하고 있다.
↑↑ 국보 274호 금동 관음보살 입상 |
ⓒ 경주신문 |
국보 247호 공주 의당 출토 금동관음보살입상은 백제 불상으로 이번 전시를 위해 처음으로 옛 신라 땅에 나들이하며,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고려시대 정병인 국보 92호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 역시 경주지역에 처음 선보인다.
보물 1204호인 한국불교미술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수월관음도는 불화승으로 유명한 의겸(義謙) 화사가 그린 것으로 고려시대 수월관음도와는 또 다른 미감을 선사한다.
↑↑ 국보 92호 청동 은입사 포류 수금문정병 |
ⓒ 경주신문 |
↑↑ 보물 344호 청자 양각류노수금문 정병 |
ⓒ 경주신문 |
정병은 원래 인도에서 수행생활을 하는 승려가 마실 물을 담던 수행도구 가운데 하나였으나, 중국에 관음신앙과 함께 전파되면서 부처나 보살에게 바치는 맑은 물을 담는 불교의 의식구로 그 의미와 기능이 확장됐다.
이번 전시에서는 ‘정병, 관음보살의 상징’라는 소주제로 관음보살의 상징으로 굳어진 정병을 살펴보고, 금속기와 도자기로 만든 정병의 다양한 변주를 통해 우리 공예의 섬세함과 우수함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 특별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 미술관 테마전 “정병과 관음신앙”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관음보살의 특징, 그리고 관음보살의 상징인 정병을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전시품을 추가해 새롭게 구성한 전시이다.
▶국보와 보물의 차이
문화재보호법 제5조의 ‘보물 및 국보의 지정’에 따르면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을 보물’로, 그리고 ‘보물에 해당하는 문화재 중 인류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그 가치가 크고 유래가 드문 것을 국보’로 지정할 수 있다고만 돼 있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