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

황오동 도시재생뉴딜사업 활성화 위한 심포지엄
사업 성공 위한 다양한 의견 제시
하드웨어에 집중된 사업의 문제점 지적

이필혁 기자 / 2020년 10월 22일
공유 / URL복사
↑↑ 성동시장 상인회 교육장에서 황오동 도시재생뉴딜사업 우문현답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황오동 도시재생뉴딜사업 성공을 위한 심포지엄이 개최돼 관심을 모았다. 지난 16일 성동시장 상인회 교육장에서 열린 황오동 도시재생뉴딜사업 우문현답(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황오동 원도심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주관으로 열린 심포지엄은 경주시 도시재생 현안진단과 추진 전략을 주제로 김경대 한동대 교수가 기조 발제를 시작으로 민대식 단장(영주문화관광형시장), 천명기 작가(비루박봉사단), 이성주 편집국장(경주신문), 정희근 센터장(경주지역자활센터), 박기섭 위원장(황오지구 주민협의체)이 활성화 방안을 피력했다.

황오동 도시재생사업은 지난 2018년 8월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선정돼 지난해 1월 경주시 도시재생 지원센터가 문을 열고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주민협의체 결성과 주민 설명회 등이 이뤄졌지만 사업 진척은 그리 순조롭지 않은 상황이다.

전체 예산 250억 가운데 황오커뮤니티센터, 황오 프론티어밸리 조성 등 고정시설투자에 75% 가까운 예산이 책정돼 있다. 하지만 고정시설 완공 시점이 3년 후로 전체 사업기간 5년 중 4년이 지나버린다.
발제자로 나선 김경대 교수도 사업기간 내 사업 성과를 보장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김 교수는 “경주는 대부분 예산이 하드웨어에 집중돼 있다. 약 75%를 건물 매입과 건축에 쓰이고 있다”면서 “또한 하드웨어 구축에도 오랜 시간이 걸려 빠른 시간에 하드웨어가 구축되지 않으면 다른 사업을 진행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총 5년의 사업 기간 중 하드웨어 구축에만 3년이 걸리고 나머지 1년 안에 성과를 내야하는 시간적 문제가 있다”며 “완공 시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이제라도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의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화관광형시장육성사업을 이끌고 있는 민대식 단장은 중·장기적 관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민대식 단장은 “경주는 지금처럼 성동시장과 중앙시장, 중심상가, 북정로상가, 봉황로상가, 북부상가 등으로 나눠져 경쟁하고 갈등한다면 미래가 없다”면서 “원도심 상권은 하나의 상권 활성화 구역으로 통합해 중장기적 발전 방향을 수립하지 않으면 성공은 어렵다”고 밝혔다.

이성주 편집국장은 도시재생 성공 요건을 주민과 행정, 센터 간 소통이라 강조했다. 이 국장은 “전국에서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 순탄치 않으며 도시의 정체성도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면서 “이들 지자체는 대부분 행정과 센터, 주민들 간의 소통 부재로 인해 사업이 원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주의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시작한 도시재생이 실패로 끝난다면 있는 자원도 제대로 활용 못한다는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고 말했다.

도시재생의 기본이자 가장 중요한 것은 주민 중심이 강조되기도 했다. 박기섭 황오지구 주민협의체 위원장은 관주도의 도시재생이 아닌 주민 중심의 도시재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공무원들의 관주도형 도시재생, 자기들이 용역을 받아야만 한다는 교수들의 무책임한 사고방식, 무성의한 교육 용역 업자들까지 도시재생이 국토부의 요건을 맞추기 위한 요식행위에 그쳐서는 안된다”면서 “도시재생의 중심은 주민이며 사업이 지속성을 갖추기 위한 여건이 마련돼야 주민 참여와 성공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도시재생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 가운데 천명기 작가의 탐욕이라는 주제가 참석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천 작가는 탐욕을 조절하지 않으면 도시재생은 추진은 힘들다고 밝혔다.

그는 “대구 김광석 골목길 도시재생을 겪으며 도시재생은 탐욕이 우선된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그는 “도시재생사업 예산 250억에 대한 생각이 모두가 다르다. 누구는 이곳에서 월급, 사업, 개발, 일자리 등 탐욕이 앞서기 때문에 진도가 나가지 않는 것이다”면서 “도시재생을 성공시키려면 예산을 대부분 반납하고 작은 것부터 주민이 할 수 있도록 예산 집행부터 달라져야 한다. 이대로는 성공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X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