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뜸과 버금

경주신문 기자 / 2024년 03월 28일
공유 / URL복사
↑↑ 박성철 교수
동국대 파라미타 칼리지
트롤 마케팅이라고 있다. 트롤(troll)은 부정적이거나 선동적인 글 또는 댓글을 인터넷에 게재하는 사람을 뜻한다. 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트롤이 장난꾸러기 난쟁이나 심술쟁이 거인이라는 원래 의미와 구별되는 신조어다. 그러니까 트롤 마케팅은 타사(他社)를 비판하는 방식으로 자사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하는 기법이다. 제품 홍보에 비방·비하 방식을 시전한다니 욕먹기 딱 좋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는 분명 있다. 왜냐하면 칭찬보다 우린 상대방에 대한 욕이나 논란에 더 쉽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정치계에서 혹시 비전(vision)과 미래를 이야기하는 정치인을 본 적 있는가? 그저 상대방을 끌어내리고 앞으로 다시는 안 볼 것처럼 악다구니를 퍼붓지만 중요한 건 그게 유권자들에게 먹힌다는 거다. 비방 흑색전이 난무하는 이유다.

욕은 강력한 힘을 가졌다. 칵테일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라는 개념을 들어본 적 있을 거다. 파티처럼 시끄러운 곳에서 대화가 가능한 건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이야기를 선택적으로 골라 들을 수 있는 우리의 능력 때문이다. 이런 선택적 지각에 깊은 연관이 있는 게 남 뒷담화나 욕이라니 서글프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홍보 수단으로 쓰기에 아주 매력적이다.

코*콜라와 펩*콜라의 디스전은 트롤 마케팅의 클래식이다. 앙숙 관계인 이들의 상대 비하 전은 광고계에서도 살벌하게 유명하다. 파란색(펩*콜라의 상징인) 캔과 병 부대 사이에서 고군분투하는 빨간 색깔의 영웅이 마침내 적장 손에 잡혀있던 공주 콜라를 구출해 낸다. 각 사의 특정 색깔이며 브랜드 로고며 아예 대놓고 노골적으로 묘사한다. 명색이 코*콜라 광고인데 영웅하고 공주, 딱 두 명 빼고는 전~부 상대 제품들이다. 이건 뭐 자사 광고인지 타사 광고인지 도통 모를 정도다. 그리고는 이런 글귀가 클로즈업된다. “병을 가져갈 순 있다. 하지만 우리 입맛은 절대 빼앗지 못한다!” 참고로 우리 아들도 공주가 사는 나라의 콜라만 마신다. 트롤 마케팅은 순진한 우리 아들도 아주 그냥 충성도 높은 고객으로 만들어 버렸다.

햄버거 업계는 또 어떻고. 맥*날드와 버*킹의 대결 구도도 아주 유명하다. 그중 하나만 살펴보면, 인도양 중앙에 자그마한 섬이 하나 있다. 활화산에다 무인도인데 섬 이름이 하필이면 맥*날드 섬이란다. 진짜다. 그러니 버*킹 눈에 이 섬은 이뻐 보이겠는가? 섬 이름을 와*(버*킹의 대표 메뉴) 섬으로 바꾸지 않는 한 어림없다. 맥*날드 섬 대(對) 와* 섬, 우리말로 으뜸과 버금은 이럴 때 쓰는 게 아닌가 싶다. 누구 편도 들을 수 없게 만들어 놓고 비즈니스계는 그 반사이익을 챙긴다. 역시나 특정 햄버거를 좋아하는 아들은 엄마 아빠가 먹는 햄버거를 한심하다는 듯 쳐다보곤 한다.

아무튼 아무도 모르는 섬 하나도 트집을 잡으니 상대 기업은 기분 좋을 리 있겠나. 보통 인간관계에 있어 가령 형제나 자매 관계에서 아무리 대들어도 둘째는 둘째다. 맏이가 될 수 없다. 그러나 기업은 다르다. 일인자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욕을 먹으면서까지 트롤링을 시도하는 이유다. 이에 대응하는 일인자의 반응은 이렇다. 고속도로 옆에 표지판이 두 개 서 있다. 하나는 맥*날드를, 다른 하나는 버*킹 가려면 얼마를 더 가야 할지 보여주는 표지판이다. 근데 버*킹 표지판은 무슨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고 나면 손에 쥐게 되는 영수증처럼 아주 기다랗게 되어 있다. 자세히 보면 어디서 우회전하고 어디서 직진하다 어디를 끼고돌면 드디어 버*킹을 만날 수 있다고 적혀 있다. 반면에 맥*날드 표지판은 아주 짧다. 거기엔 이렇게 쓰여 있다. “258km나 떨어진 버*킹은 가는 것조차 어렵죠. 맥*날드는 5km만 가면 되는데...” 햄버거 업계의 맏형이 까불고 있는 동생에게 주는 훈계처럼 들린다. “난 너보다 매장이 1000개가 더 많아. 어딜 형한테 까불어!”

이제 곧 총선이다. 서로 다른 색깔, 당복, 서로 다른 정당 철학으로 무장한 채 지금도 서로가 서로에게 손가락질하며 거친 말을 쏟아내고 있다. 마치 온 나라가 트롤 마케팅 한복판에 놓여 있는 듯하다. 정치계가 광고업계와 다른 가장 큰 차이를 꼽자면 승자 없이 모두 패자가 된다는, 아니 선택한다는 점이 아닐까 싶다. 부디 올해는 내 예상이 보기 좋게 틀렸으면 좋겠다.

X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